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의 랜디 틴세스 마케팅 부사장은 22일 서울 강서구 코트야드메리어트서울보타닉파크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"지난 3년간 한국의 저비용 항공사(LCC)는 동북아시아내 신규 노선의 70%를 차지했다"며 이 같이 말했다.
틴세스 부사장은 "현재 LCC는 동북아 지역의 215개의 노선을 담당하며 2015년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"며 "한국의 LCC는 동북아 시장의 성장을 이끌며 한국 승객수송력의 40% 가까이 차지한다"고 말했다.
한국 LCC의 성장을 기반으로 향후 20년 동안 동북아시아 지역의 항공 교통량이 연간 2%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. 이에 따라 동북아 지역의 항공사들은 2018년부터 2037년 사이에 총 1450대의 신형 상용기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. 동북아시아 지역의 신형 상용기 상당수는 대체될 것으로 내다봤다. 틴세스 부사장은 "향후 20년 간 동북아 지역에 도입되는 모든 신형 항공기의 69%는 노후하거나, 비효율적인 항공기는 대체할 것"이라고 설명했다.
보잉은 또 글로벌 상용 항공 서비스 시장은 향후 20년 간 성장해 8조8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.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비중은 약 40%(3조5000억달러)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. 향후 20년 간 신형 항공기 4만2700대의 인도를 위해 전 세계 항공사가 투자할 금액은 총 6조3000억달러로 추정했다.
틴세스 부사장은 "아시아 시장의 수많은 항공기들은 공급망 지원에서부터 유지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, 항공기 개조, 항공사 운영에 이르는 항공 서비스 시장에 대한 수요를 지속 창출할 것"이라고 말했다.
출처 http://biz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18/10/22/2018102201725.html